임신 사전건강관리, 가임력 검사비 최대 13만 원 지원됩니다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결혼 안 해도, 자녀 없어도 신청 가능
정부는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고 건강한 임신을 돕기 위해 2025년부터 전국민 대상의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의 핵심은 가임력 검사비용을 정부가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기혼자, 미혼자 구분 없이 만 20세에서 49세 사이의 여성과 남성이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임력 검사란?
남녀 모두 신청 가능
가임력 검사는 건강한 임신을 위한 기본적인 생식 기능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여성은 난소 기능과 배란 주기 등을 확인하고, 남성은 정액 검사를 통해 정자 수와 운동성을 평가받게 됩니다. 정부는 이 검사에 대해 여성은 최대 13만 원, 남성은 최대 5만 원까지 연 1회, 총 3회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과 조건
거주지와 소득 조건 없이 신청 가능
- 대상: 만 20~49세 남녀 누구나
- 혼인 여부와 자녀 유무 관계 없음
- 거주지 제한 없음 (전국민 대상)
- 신청 횟수: 1년에 1회, 최대 3회까지
- 본인 부담금 일부 발생 (의료기관별 상이)
신청 방법과 절차
의료기관 통해 직접 신청
1. 가임력 검사가 가능한 산부인과 또는 비뇨기과에 방문
2. 해당 기관이 지원사업 참여기관인지 확인
3. 본인 신분증 지참 후 신청
4. 검사 후 일부 비용은 정부에서 직접 지원
※ 의료기관마다 본인부담금이 달라지니 사전 문의 권장
가임력 검사, 꼭 받아야 할까?
임신 계획 없어도 '건강 점검' 차원에서 유익
임신 계획이 당장 없어도, 앞으로의 삶에서 임신 가능성과 생식 건강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스트레스, 환경호르몬, 음주, 흡연 등이 생식력 저하에 영향을 주는 만큼, 정부 지원을 통해 미리 점검해보는 것은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총정리 및 활용 팁
지금 받을 수 있는 건강한 혜택
- 신청 대상: 전국 20~49세 남녀
- 신청 장소: 가임력 검사 가능한 병원
- 지원 내용: 연 1회, 최대 3회 검사비 지원
- 지원 금액: 여성 13만 원, 남성 5만 원
- 본인 부담금 일부 발생 가능
임신 준비 중인 부부는 물론, 향후 임신 가능성에 대비하고 싶은 분들까지 꼭 활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연관 정보
2025.04.14 - [분류 전체보기] - 임신 초기, 이런 증상 보이면 의심!
임신 초기, 이런 증상 보이면 의심!
[임신 초기 증상] 언제부터? 이렇게 시작됩니다임신일까? 몸이 보내는 첫 신호임신 초기 증상은 보통 수정 후 1~2주, 생리 예정일 전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합니다.하지만 증상의 종류와 강도는 개
dearyour.tistory.com
2025.04.02 - [분류 전체보기] - 맞벌이 육아지원제도 신청방법 총정리
맞벌이 육아지원제도 신청방법 총정리
2025년, 바쁜 맞벌이 부부를 위한 육아 지원제도는 점점 더 다양하고 정교해지고 있습니다.정부가 마련한 다양한 혜택은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아이 돌봄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도록
dearyour.tistory.com
2025.05.20 - [분류 전체보기] - 유연근무 장려금 월 60만원 지원, 워킹맘 필독
유연근무 장려금 월 60만원 지원, 워킹맘 필독
1. 유연근무제란 무엇인가?유연근무제는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제도로, 육아, 학업, 건강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대 외에 근무를 희망하는 근로자에게 매우 유용한 제도입니다
dearyour.tistory.com
'육아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다자녀 혜택 총정리, 지금 누릴 수 있는 지원은? (2) | 2025.05.24 |
---|---|
[행복출산혜택] 신청만 하면 최대 300만원 받는 꿀팁! (7) | 2025.05.23 |
유연근무 장려금 월 60만원 지원, 워킹맘 필독 (0) | 2025.05.21 |
임신부터 출산 전까지 남편이 꼭 해야 할 일 총정리 (1) | 2025.05.20 |
출산 후 회복 기간, 무리하면 평생 후회 (2) | 2025.05.19 |